사진=REUTERS
사진=REUTERS
미국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6개 주요 단체가 트럼프 행정부에 5월 3일부터 발효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에 반대하기 위한 공동 행동에 나섰다.

23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딜러와 공급업체, 거의 모든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이들 단체는 트럼프 행정부에 보낸 서한에서 자동차 부품 관세가 미국 자동차 생산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서한은 많은 자동차 공급업체들이 이미 곤경에 처해있으며 추가 비용 인상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한은 ″대부분의 자동차 공급업체는 갑작스러운 관세로 인한 차질에 대비한 자본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많은 업체가 생산 중단, 해고, 파산에 직면할 것”이라고 썼다.

이들은 “한 공급업체의 실패만으로도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 라인이 폐쇄될 수 있다”며 팬데믹 때처럼 이런 일이 발생하면 모든 공급업체가 영향을 받고 대량 실직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또 ″글로벌 공급망을 하룻밤 사이, 심지어 몇 달 만에 재편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시간이 걸린다”고 강조했다.
4월 21일자로 적힌 이 편지는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 미국 무역대표부 대사 제이미슨 그리어에게 보내졌다.

공동 서한은 미국 자동차 정책 협의회, 자동차 공급업체 협회, 전국 자동차 딜러협회, 미국 국제자동차 딜러 협회, 자동차 혁신을 위한 연합, 오토스 드라이브 아메리카의 수장이 서명했다.

이들 단체는 미국 50개 주에서 1,000만 개의 일자리를 지원하고 매년 1조 2,000억 달러를 산출하는 미국 최대의 제조업 부문을 대표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가 단일 공동 메시지에 서명한 경우는 전례 없는 일로 자동차 업계 전반의 위기감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자동차 제조업체에는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와 리비안, 루시드 그룹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캐나다·멕시코 등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전환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자동차 회사들을 도울 방안을 찾고 있다”고 언급했다. 서한은 대통령의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 재검토 의향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관세가 자동차 제조업체보다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에 더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전했다. 또 이 영향은 글로벌 공급망 전체에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분석가들의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트럼프의 관세로 자동차 판매는 수백만대 감소하고, 신차 및 중고차 가격은 상승하는 한편, 업계 전반에 걸쳐 1,000억달러(142조원)의 비용이 더 들것으로 추산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