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기대감이 반영된 세종은 상승폭을 더욱 키웠다.

한국부동산원이 24일 발표한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8% 올라 12주째 오름세를 유지했다. 상승폭은 전주와 동일했다.

강남 3구 중 서초구와 송파구는 각각 0.18% 상승해 전주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강남구는 0.13% 올라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전주(0.16%)에 비해 다소 둔화됐다.

성동구(0.17%), 마포구(0.14%), 용산구(0.13%), 양천구(0.12%), 강동구(0.11%) 등도 서울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단지나 역세권 선호 지역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꾸준했고 실거래도 일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 외 지역은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지난주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1월 셋째 주 이후 내림세가 지속된 인천은 이번 주 보합(0.00%)으로 전환됐다. 경기는 전주와 같은 -0.01%의 낙폭을 기록했지만, 과천(0.28%), 성남 분당구(0.14%), 용인 수지구(0.14%) 등은 오름세를 보였다.

수도권 전체는 전주와 동일한 0.02%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졌다. 5대 광역시는 평균 -0.06%, 8개 도는 -0.03% 떨어지며 지방 전체적으로는 0.04% 하락했다.

그동안 침체가 길었던 세종은 지난주 0.04% 상승에 이어 이번 주 0.23%로 상승폭을 크게 확대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0.01% 내려 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세시장도 큰 변화 없이 보합세를 유지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3주 연속 제자리걸음을 기록했으며, 서울은 0.03% 올라 전주보다 상승폭이 0.01%포인트 커졌다. 수도권은 0.02%로 전주와 같았고, 지방은 평균 0.02% 하락했다.

울산(0.04%), 부산(0.02%), 경기(0.01%), 인천(0.01%)은 상승했고, 전남(-0.07%), 대전(-0.07%), 제주(-0.05%), 전북(-0.04%)은 하락했다. 광주, 강원, 충북은 보합을 나타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