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을 찾아 “남북 간 대화를 재개하고, 9·19 군사합의를 복원하자”고 주장했다. 문 전 대통령이 공식 일정으로 서울을 찾은 것은 2년 만이다. 김경수·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를 비롯해 민주당 인사 다수가 문 전 대통령을 맞이했다. 이재명 후보는 불참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숙 여사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4·27 남북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숙 여사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4·27 남북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문 전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남북 관계는 지난 3년간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망가졌고, 한반도 평화를 향한 역대 정부의 노력과 성과는 송두리째 부정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는 “역대 정부가 계승해온 균형 외교를 파기하고, 철 지난 이념에 사로잡혀 진영 외교에만 치중했다”고 비판했다. 최근 정치권에서 나오는 핵무장론에는 “북한의 핵 개발에 면죄부를 주고 동북아시아를 세계의 화약고로 만들 수 있는 무책임한 주장”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자신을 기소한 것과 관련해서도 입장을 내놨다. 문 전 대통령은 기념식 전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기소 자체도 부당하고, 정해진 방향대로 무조건 밀고 가는 느낌이 들었다”며 “그만큼 검찰이 정치화됐다. 검찰권이 남용되는 단적인 사례 같다”고 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 박찬대 민주당 당대표 권한대행,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 등 범진보 진영 인사가 다수 참여했다. 한병도 김영배 정태호 박범계 등 이른바 친문재인계 의원들도 모습을 보였다. 이 후보는 “비공식 일정이 있다”는 이유로 불참했고, 캠프 선거대책위원장인 윤호중 의원이 대신 참석했다.

배성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