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 2만5000가구를 넘어섰다. 한 달 새 5.9% 늘어 11년7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하는 등 지방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분양 물량은 지난해 반토막 수준에 머물렀다. 아파트 공급 부족에 따른 시장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5117가구로 집계됐다. 지난 2월(2만3722가구)보다 5.9%(1395가구) 늘어난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023년 8월 이후 20개월 연속 증가했다. 2013년 8월(2만6453가구) 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4574가구로 2월보다 0.7% 증가했다. 지방은 2월에 비해 7.1% 급증한 2만543가구를 기록했다. 지방 중에선 대구(3252가구)와 경남(3026가구), 경북(2715가구), 부산(2438가구) 등에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전북은 한 달 새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8.4% 급증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체 미분양 물량은 소폭 감소했다.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2월(7만61가구)보다 1.6% 감소했다. 수도권에서 미분양이 한 달 새 6.1% 줄어든 1만6528가구로 집계됐고, 지방은 69가구 감소한 5만2392가구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방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3000가구 규모 매입 계획과 기업구조조정(CR)리츠 도입 등을 예고했다. CR리츠는 이달 1호 리츠가 출범해 대구에 있는 미분양 288가구 매입에 나섰다. 그러나 전체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증가로 분양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긴 어려울 것이란 부정적 전망이 강하다. 업계 관계자는 “CR리츠와 LH 매입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제한적”이라며 “양도세 감면 등 수요 진작을 위한 세제 혜택이 제공돼야 한다”고 말했다.
◇ 1분기 공급 선행지표 부진
지난달 주택 공급을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인 인허가와 착공, 준공, 분양 실적은 소폭 개선됐다. 그러나 건설경기 침체를 겪은 지난해보다 누적 실적이 줄어들어 주택 공급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주택 인허가 물량은 3만1033가구로 전월보다 148.2% 증가했다. 서울은 인허가 물량이 7339가구로 2월(1541가구)보다 다섯 배가량 늘었다. 수도권 전체 인허가 물량은 1만5145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3% 증가했다. 하지만 1~3월 누적 물량은 6만5988가구로 지난해의 89% 수준에 그쳤다.
공급 물량 감소는 여전하다. 3월 전국 분양은 8646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2764가구)보다 증가했다. 그러나 1~3월 누적 실적은 2만1471가구로 지난해(4만2688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수도권은 올해 들어 3월까지 5972가구 분양에 그쳐 지난해(2만762가구)보다 71.2% 급감했다.
주택 거래량은 서울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났다. 지난달 전국 주택 거래는 6만7259건으로 2월보다 32.7% 증가했다. 서울 거래량은 1만2864건으로 75.6% 급증했다.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일시적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아파트 손바뀜이 잦았던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