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친환경종합타운 기재부 예타 면제사업 선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종시 친환경종합타운 설치사업이 기재부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으면서 2030년 정상 준공에 성큼 다가섰다.
시는 폐기물처리시설(친환경종합타운) 설치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친환경종합타운 조성의 시급성과 사업의 공공성, 주민과의 갈등 해소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종시는 인구 증가에 따라 생활폐기물 하루 발생량이 2016년 99t에서 2024년 206t까지 급증하고 있다.
시는 자체 처리시설 부족에 따른 민간 위탁 처리비용이 수백억 원에 이르면서 친환경종합타운 건립을 추진해 왔다.
전동면 송성리 일원에 조성되는 친환경종합타운은 1일 480t을 처리하는 소각시설이다.
총사업비는 약 3600억원 규모다.
시설 조성 면적은 총 6만 5123㎡이며 수영장·목욕장 등 주민이 원하는 편익 시설과 문화·체험시설을 포함해 건립될 계획이다.
시는 2020년 입지 후보지 공개모집을 시작으로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입지 결정 고시 등의 행정절차를 진행한 상태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예타를 면제받은 후에는 사업의 시설 규모와 사업비 등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해 시설 규모와 사업비가 최종 확정된다.
이후 지방재정투자심사 등 후속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해 오는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권영석 세종시 환경녹지국장은 “친환경종합타운은 세종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깨끗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이라며 “앞으로도 주민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임호범 기자
시는 폐기물처리시설(친환경종합타운) 설치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친환경종합타운 조성의 시급성과 사업의 공공성, 주민과의 갈등 해소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종시는 인구 증가에 따라 생활폐기물 하루 발생량이 2016년 99t에서 2024년 206t까지 급증하고 있다.
시는 자체 처리시설 부족에 따른 민간 위탁 처리비용이 수백억 원에 이르면서 친환경종합타운 건립을 추진해 왔다.
전동면 송성리 일원에 조성되는 친환경종합타운은 1일 480t을 처리하는 소각시설이다.
총사업비는 약 3600억원 규모다.
시설 조성 면적은 총 6만 5123㎡이며 수영장·목욕장 등 주민이 원하는 편익 시설과 문화·체험시설을 포함해 건립될 계획이다.
시는 2020년 입지 후보지 공개모집을 시작으로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입지 결정 고시 등의 행정절차를 진행한 상태다.
국가재정법에 따라 예타를 면제받은 후에는 사업의 시설 규모와 사업비 등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해 시설 규모와 사업비가 최종 확정된다.
이후 지방재정투자심사 등 후속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해 오는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권영석 세종시 환경녹지국장은 “친환경종합타운은 세종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깨끗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이라며 “앞으로도 주민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임호범 기자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