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로…韓·中·日 제조기업, 내년 매출 4~7% 줄어들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협, 3개국 303개사 조사
한국 기계·중국 철강, 영향 클듯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 직격탄
한국 기계·중국 철강, 영향 클듯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 직격탄
미국발(發) 관세 전쟁의 영향으로 한국, 중국, 일본 제조 기업의 내년 매출이 올해보다 4~7%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 기업의 매출 감소폭이 가장 컸고, 중국 한국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한·중·일 각국 매출 상위 1000대 제조 기업 중 101곳씩 총 303곳을 조사한 결과, 일본이 7.2%로 가장 높았고 중국(6.7%) 한국(4.0%) 등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중국은 철강·금속(-11.7%) 기계·산업장비(-8.3%) 바이오·생활소비재·의류(-7.5%) 순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됐고, 일본은 철강·금속(-10.5%) 반도체·전자제품(-10.4%) 자동차·부품(-7.6%) 컴퓨터·관련 장비(-6.3%) 순이었다. 한국은 기계·산업장비(-12.2%) 철강·금속(-8.7%) 컴퓨터·관련 장비(-7.5%) 자동차·부품(-7.2%) 업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정부의 압박에 따른 투자계획 조정 여부에 대해 ‘변경 없음’이라는 답변은 한국(74.3%)과 일본(61.4%)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중국도 변경 없음(38.6%)이 가장 많긴 했으나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28.7%나 됐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압박에도 투자 확대를 고려하는 것은 정부 지원,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회복에 대한 기대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과 일본 기업의 ‘투자 확대’ 답변은 각각 4%, 5%에 그쳤다.
미국발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서는 한국은 46%, 중국 61%, 일본 41%가 ‘원가 및 비용 절감’을 꼽았다.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 응답은 한국 11%, 중국 17%, 일본 21% 등으로 많지 않았다.
박의명 기자 [email protected]
한국경제인협회는 한·중·일 각국 매출 상위 1000대 제조 기업 중 101곳씩 총 303곳을 조사한 결과, 일본이 7.2%로 가장 높았고 중국(6.7%) 한국(4.0%) 등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중국은 철강·금속(-11.7%) 기계·산업장비(-8.3%) 바이오·생활소비재·의류(-7.5%) 순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됐고, 일본은 철강·금속(-10.5%) 반도체·전자제품(-10.4%) 자동차·부품(-7.6%) 컴퓨터·관련 장비(-6.3%) 순이었다. 한국은 기계·산업장비(-12.2%) 철강·금속(-8.7%) 컴퓨터·관련 장비(-7.5%) 자동차·부품(-7.2%) 업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정부의 압박에 따른 투자계획 조정 여부에 대해 ‘변경 없음’이라는 답변은 한국(74.3%)과 일본(61.4%)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중국도 변경 없음(38.6%)이 가장 많긴 했으나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28.7%나 됐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압박에도 투자 확대를 고려하는 것은 정부 지원,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회복에 대한 기대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과 일본 기업의 ‘투자 확대’ 답변은 각각 4%, 5%에 그쳤다.
미국발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서는 한국은 46%, 중국 61%, 일본 41%가 ‘원가 및 비용 절감’을 꼽았다.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 응답은 한국 11%, 중국 17%, 일본 21% 등으로 많지 않았다.
박의명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