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현장 실사단이 지난 3월 전남 여수시  롯데케미칼을 방문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관련한 애로사항 등을 듣고 있다. 여수시 제공
정부 현장 실사단이 지난 3월 전남 여수시 롯데케미칼을 방문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관련한 애로사항 등을 듣고 있다. 여수시 제공
김영록 전남지사는 "정부의 여수 석유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환영한다"고 1일 밝혔다.

김 지사는 환영문을 내고 "정부의 이번 결정은 석유화학산업이 생태계를 회복하고 미래형 산업구조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지정을 발판 삼아 여수화학산업의 대전환에 더욱 박차를 가해 여수국가산단·묘도를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클러스터와 청정수소 에너지 산업벨트로의 조성을 추진하겠다"며 "국가기간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 조정 및 경쟁력 강화 지원 특별법 제정 등을 위해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석유화학산업 위기로 지역경제 침체가 우려되는 전남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앞으로 2년간 지역 석유화학산업 관련 기업에 연구개발(R&D), 판로 개척, 고용 안정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매출 또는 영업이익이 10% 이상 감소한 지역 기업에 긴급경영안정자금을 공급하고, 협력 업체에는 '정책금융 만기 연장(1+1년)' 및 우대보증을 지원한다.

친환경·고부가가치 소재 연구개발과 고용지원사업도 우선으로 제공한다.

전라남도는 지난해 9월 여수 석유화학산업 위기 대응 협의체를 구성하고 같은 해 11월 '여수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수립해 위기 대응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

지난 1월에는 김 지사 직속으로 '석유화학산업 위기 대응추진단'을 신설해 정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요청했다.

전라남도와 여수시는 3707억원 규모의 19개 지원사업을 발굴해 정부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무안·여수=임동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