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석유화학 업체가 밀집한 전남 여수시를 산업 위기 우려 지역으로 지정했다. 석유화학 업황이 장기간 부진해 지역 경제마저 덩달아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다. 정부는 상반기 내로 석유화학 부문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후속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는 1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날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 2년간 여수시를 산업 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지역 산업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기업 경영난이 지역 경제 위기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여수시가 첫 사례가 됐다.

여수국가산단에는 29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LG화학과 롯데케미칼·금호석유화학·한화솔루션 등 4대 석유화학 업체는 물론이고 에틸렌을 생산하는 여천NCC 등 석유화학 기업이 대부분이다. 울산국가산단, 서산 대산산업단지와 달리 여수국가산단은 석유화학 업종에 대한 지역 경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번 지정으로 여수시 기업들은 정부의 긴급경영안정자금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에서 한도 상향, 저금리 등 우대를 받는다. 여수시 협력업체와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정책금융 지원도 강화된다.

정부는 지난달 한국석유화학협회에서 전달받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의 산업 재편 컨설팅 보고서를 토대로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후속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 과잉 설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기업별로 주력 품목이 달라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게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기업 간 자율적인 인수합병(M&A), 사업·자산 양수도 등을 ‘측면 지원’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세금 감면, 금융 지원, 공정 거래 이슈 면책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별도로 석유화학 업계는 정부에 전기요금 한시 인하도 요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산업 위기 선제 대응지역에 있는 설비라도 전기요금을 깎아달라는 요청이다. 석유화학 업계는 전기료가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달해 대표적인 전기 다소비 업종으로 분류된다.

김리안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