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동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동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 공동선대위원장이 “입법·사법·행정 삼권분립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23일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이같이 밝혔다. 진행자가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정치개혁에 관한 입장을 묻자 “입법·사법·행정 삼권분립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입법·사법·행정이 모두 그 주인인 국민주권을 인정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대통령이나 엘리트 메커니즘에 집중돼있는 권력을 분산시키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당이 대법관 수 증원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임명권이라는 형식으로 사법에 영향력을 행사해왔기 때문에 그것을 대통령이 아닌 국민의 권력으로 옮기려는 취지가 있는 것”이라고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폐지 △대통령 임기 3년 단축 등의 정치개혁안을 내놓은 데 대해 김 위원장은 “정치에 대한 깊은 고민이 별로 없는 경우 포퓰리즘적으로 정치 해법이 제시되는 전형적인 케이스”라고 평가 절하했다. 김 위원장은 “국회의원이 많아서 쿠데타(12·3 비상계엄)가 일어났느냐”고 반문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이재명 후보가 기본사회 공약을 내놓고 ‘기본사회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데 대해선 ‘소득’보다 ‘서비스’에 방점이 찍혀있다는 뜻을 시사했다. 그는 “유럽 학계에서 기본소득은 무조건적인 현금 보편 제공, 기본서비스는 교육·문화·교통·주거·돌봄 등 사회서비스가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며 “기본소득보다 기본서비스가 강조되는 쪽으로 전 세계 추세가 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본소득은 재정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면적으로 시행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본소득의 문제의식은 가지고 있되 기본서비스의 확실화를 통해 기본사회를 (추진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발전시켜오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선 ‘상수’라고 분석했다. 그는 “(단일화를) 당연히 시도할 것이라고 본다”면서도 “원칙 없는 정치는 대부분 실패한다”고 지적했다.

이광식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