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증시, 中 제조업 PMI 발표…관세 영향 촉각
입력
수정
지면A18
중국 증시가 미국과의 관세 전쟁 향방을 살피면서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25일 전 거래일보다 0.07% 내린 3295.06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한 주 단위로 보면 0.56% 올랐다. 중국의 조속한 협상 참여를 종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과 중국 정부의 대응 수위에 따라 등락을 거듭했다. 투자자들은 이미 미·중 무역 마찰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이 일부 미국 수입품에 관세 부과를 중단했다는 내용과 시의적절하게 기준금리를 인하하겠다는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의 발언이 나오며 투자자들도 투자 재개를 재고 있다.
오는 30일에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발표한다. 제조업 PMI는 미국과 치열한 관세전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중국 제조업 업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올 1월 49.1까지 주저앉은 중국의 제조업 PMI는 2월(50.2)과 3월(50.5) 잇따라 상승했다. 지난달 기준으로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대 지수 중 생산지수, 신규주문지수, 공급자배송시간지수가 기준선을 웃돌았다. 로이터통신 등에선 “중국의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제조업은 안정적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제조업 PMI는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위축 국면을 의미한다.
올 1분기 제조업 PMI가 반등한 건 중국 기업들이 관세 전쟁에 대비해 미리 움직인 영향이 컸다. 전문가들은 올 2분기부터 실질적으로 제조업 성장 동력이 둔화해 PMI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www5s.shop
오는 30일에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발표한다. 제조업 PMI는 미국과 치열한 관세전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중국 제조업 업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올 1월 49.1까지 주저앉은 중국의 제조업 PMI는 2월(50.2)과 3월(50.5) 잇따라 상승했다. 지난달 기준으로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대 지수 중 생산지수, 신규주문지수, 공급자배송시간지수가 기준선을 웃돌았다. 로이터통신 등에선 “중국의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제조업은 안정적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제조업 PMI는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위축 국면을 의미한다.
올 1분기 제조업 PMI가 반등한 건 중국 기업들이 관세 전쟁에 대비해 미리 움직인 영향이 컸다. 전문가들은 올 2분기부터 실질적으로 제조업 성장 동력이 둔화해 PMI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