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리츠 도입·코스피200 편입…리츠 활성화한다
입력
수정
지면A23
부동산 프리즘정부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리츠(부동산 투자회사)를 코스피200지수에 편입하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을 대신하는 프로젝트리츠를 도입하는 등 리츠 투자 활성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리츠 투자 규모를 늘려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국토부, 리츠 연구용역 발주
리츠 투자 문턱 낮추기로
'프로젝트리츠'도 본격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리츠는 아직 주요 선진국에 비해 성장이 더디다. 지난달 기준 국내 증시에 상장된 리츠는 24개에 그쳤다. 시가총액도 8조3652억원에 불과하다. 리츠가 활성화된 싱가포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상장리츠 시총 비율이 20%에 달한다. 미국과 일본도 각각 6%, 3%로 높다. 반면 한국은 아직 0.3%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투자 활성화 방안으로 국내 리츠의 지수 편입을 검토 중이다. 지수에 편입되면 지수를 추종하는 기관투자가가 유입돼 투자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상장리츠 투자 접근성이 높아져 개인 투자가 편리해지는 것도 장점이다. 정부는 여기에 한국형 리츠 지수를 개발하고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의 투자를 유인하는 방안 등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리츠 관련 규제도 개선한다. 정부는 연금저축 및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통한 유상증자 참여 자율화와 공시 편의성 개선 등을 검토 중이다. 리츠의 자금 조달이 다변화하도록 회사채 발행과 자산 재평가 지원 등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리츠의 신용도를 높여 회사채 발행 과정에서 조달 금리를 낮춰주는 방안이 검토 대상이다.
정부가 제시한 지난해 ‘6·17 리츠 활성화 방안’도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연내 시행을 앞두고 있다. 프로젝트리츠를 도입해 PF에 의존하던 부동산 개발 시장에 새로운 자금 조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토부 인가 대상이었던 프로젝트리츠는 앞으로 개발 단계에서 신고만으로 설립할 수 있게 된다. 공시의무도 간소화된다. 리츠는 준공 후 건물을 매각하거나 영업인가를 받고 계속 임대할 수 있다. 주식 공모를 통한 상장도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프로젝트리츠가 도입되면 자금 조달 과정에서 PF 의존도가 낮아져 개발사업 건전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