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도 쟁여둬야할 판"…코스트코 '사재기' 벌어진 까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관세 부과 전인데, 아보카도 값 25% 뛰어"…美 물가도 빨간불
美 관세전쟁 후폭풍…마트선 벌써 사재기
멕시코·加서 방울토마토 등 수입
소비자들, 채소 가격 급등 우려
'10% 관세' 中 장난감도 가격 뛸 듯
美 관세전쟁 후폭풍…마트선 벌써 사재기
멕시코·加서 방울토마토 등 수입
소비자들, 채소 가격 급등 우려
'10% 관세' 中 장난감도 가격 뛸 듯

2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카운티의 코스트코 채소 매장 코너. 평소에는 사람 눈높이까지 쌓여 있던 아보카도 상자가 거의 바닥을 드러내고 있었다. 아보카도 가격표를 보고 한숨을 내쉬던 인도계 니르말라 자인 씨는 “과카몰리를 좋아하고 멕시코 요리를 많이 해서 아보카도를 자주 사는 편”이라면서 “원래 6개가 비싸도 7.99달러 정도였는데 이렇게 많이 올랐다니 놀랍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더 오른다니 이 값에라도 쟁여둬야할 것 같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0시(미 동부시간 기준)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25%, 중국산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벌써부터 미국내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미국 내에서 팔리는 아보카도의 80% 이상이 멕시코산이다. 25% 관세가 부과되면 아보카도 가격이 더 뛰고 공급 물량도 줄어들 것이란 우려가 이미 가격에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캐나다산 제품 중에선 방울토마토와 메이플시럽 등의 가격이 불안하다. 미국에서 팔리는 방울토마토는 멕시코와 캐나다산이 90% 이상이다. 맥주와 데낄라 등 주류 가격 상승도 예상된다. 웰스파고 은행의 크리스 캐리 애널리스트는 관세 여파로 맥주 가격이 4.5% 오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에너지와 자동차 부품, 장난감 가격도 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관세 여파로 휘발유 선물(3월물) 가격이 하루만에 2.8% 가량 뛰었다. 미국에 수입되는 원유의 60% 가까이가 캐나다산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가 상승을 우려해 캐나다산 원유에 대해선 25%가 아닌 10% 관세를 물리기로 했지만 업계에선 갤런당 휘발유 가격이 10센트 가량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뉴욕주와 매사추세츠주 등 동부 지역 주유소에서 휘발유 가격은 갤런당 2.9~3.5달러 수준이다.
중국산 수입품 중 장난감을 비롯해 그동안 관세를 면제받던 800달러 이하 품목도 가격이 뛸 전망이다.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는 아동용 장난감 트럭 ‘톤카 트럭’은 현재 소매가격이 29.99달러에서 최고 39.99달러로 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자동차 부품 가격도 오를 전망이다. 멕시코는 미국이 수입하는 자동차 부품의 약 40%를 공급한다. 뉴욕 브루클린에서 정비업소를 운영하는 알렉스 모레티씨는 “일부 대형 정비업소는 대시보드 같은 부품을 사재기 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관세 여파로 인플레이션이 재발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달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은 전년 대비 2.6% 올라,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도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여전히 높다”고 했다. 달걀 등 일부 식료품은 조류인플루엔자에 따른 닭 폐사 조치까지 겹치면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달걀 한 판(12개) 가격은 1월 18일 평균 5.29달러로 1년 전(3.5달러)보다 약 50% 급등했다.
워싱턴=이상은/뉴욕=박신영 특파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