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가 회사채 주관 대가로 발행 기업의 요구대로 회사채를 인수했다가 발행 직후 매각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회사채 발행 금리가 왜곡되자 국민연금 등 연기금이 회사채 수요예측 참여를 외면하고 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HD현대오일뱅크, SK지오센트릭, SK매직, SK인천석화 등이 올 들어 발행한 회사채를 증권사들이 발행 다음 날 인수 가격보다 싸게 시장에 내놨다. 도매상이 매입한 상품을 더 싼 가격에 소비자에게 판매한 셈이다.

지난 14일 발행된 LG에너지솔루션 2년 만기 회사채 6400억원어치는 닷새 만에 절반 이상인 3800억원어치가 시장에 쏟아졌다. 13일 발행된 GS에너지 2년 만기채는 사흘 만에 600억원어치, 5일 발행된 SK지오센트릭 2년 만기채는 15일 만에 1100억원어치가 매도됐다.

회사채 수요예측에 계열 금융회사 참여를 약속하며 수임을 따내는 ‘캡티브 영업’ 관행이 선을 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거와 달리 증권사가 주관 딜을 따내기 위해 손실을 보더라도 발행 기업의 요구 금리대로 회사채를 직접 떠안는 일이 잦아졌기 때문이다. 증권업계에서는 회사채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금융사 물량의 70~80%가 주관 증권사 측에서 나온 물량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회사채 시장의 이례적인 호황도 비정상적인 증권사 간 출혈 경쟁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증권사 사장은 “회사채 발행 시장이 비정상적으로 흐르자 일부 연기금은 회사채 수요예측 참여를 중단했다”며 “회사채 발행 금리가 왜곡되는 일이 앞으로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사, 회사채 주관 따내려 가격 왜곡…국민연금 수요예측 보이콧
비정상적인 회사채 금리 왜…기관·운용사 "수요예측 불참"

'회사채 거품' 키우는 증권사 출혈경쟁
지난 17일 LG에너지솔루션 2년물 회사채 500억원어치가 발행금리보다 0.021%포인트 높은 금리에 매각됐다. 금리 격차는 갈수록 커졌다. 900억원어치가 매각된 18일에는 0.044%포인트, 2400억원어치가 팔린 19일에는 0.06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이달 14일 LG에너지솔루션이 1조6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한 직후 2년물 6400억원어치 가운데 3800억원어치가 사흘간 쏟아진 것이다. 증권사들이 회사채 발행 주관을 대가로 인수한 LG에너지솔루션 회사채를 곧바로 손절한 것으로 파악된다. 금리가 가장 크게 벌어진 19일에만 증권사들은 1억4400억원의 손해를 떠안은 것으로 추산된다.

증권사 출혈 경쟁 속에 회사채 수요예측 시장 왜곡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회사채 주관 딜을 따낼 때 보험사, 자산운용사, 캐피털사 등 계열사 참여를 약속하며 수임하는 캡티브 영업 관행의 선을 넘은 지 오래라는 지적이 나온다. 발행사 요구 금리를 맞춰 주관 증권사가 자기자금으로 회사채를 인수했다가 곧바로 처분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 회사채 발행 전 선매도 성행

이달 발행된 다른 회사채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SK지오센트릭 2년물은 발행 8일 만에 발행금리와 시장금리 간 격차가 0.093%포인트까지 벌어졌다. SK매직 2년물은 발행 이틀 만에 이 격차가 0.071%포인트를 나타냈다. 통상 금융사의 채권 보유 기간이 4개월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으로 짧은 기간에 빠르게 회사채 가격이 떨어진 것이다.

증권사가 회사채 가격이 더 떨어지기 전에 빨리 처분하기 위해 발행 전에 선매도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한 대형 증권사 채권 담당자는 “회사채가 발행되기 며칠 전에 금리 수준을 파악한 뒤 발행 직후 넘길 수 있도록 거래 상대방을 미리 구해놓는 일이 많다”며 “작년부터 조짐이 있었지만 올해 들어 회사채 주관 경쟁이 너무 심해지면서 금리 왜곡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채 시장에서 ‘제 살 깎아먹기’ 영업은 대형사, 중소형사 구분 없이 벌어지고 있다. 회사채 주관을 잡지 못하면 수수료가 높은 기업금융(IB) 딜을 따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발행 기업들은 이런 증권사 경쟁 상황을 악용하고 있다. 수요예측이 무색하게 요구 금리와 인수 규모를 지정해주고 이를 수용하는 증권사로만 주관사를 꾸린다는 게 업계 얘기다. 2013년 회사채 수요예측 제도 도입 이전으로 시장이 후퇴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수요예측 기능 마비

회사채 발행 시장 시스템이 무너지자 정상적인 ‘큰손’ 투자자는 수요예측 참여를 외면하고 있다. 국민연금을 필두로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는 회사채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요예측에서 결정된 발행금리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발행 직후 시장에서 더 좋은 조건으로 회사채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장이 학습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 대형 증권사 임원은 “국민연금은 과거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비정상적으로 낮은 금리를 제시한 증권사에 ‘거래 중단’ 등 제재 조치를 내려 시장을 정화하는 역할을 했는데 최근에는 발을 빼는 모습이어서 시장이 더욱 혼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사도 비슷한 실정이다. 한 대형 운용사 채권운용팀장은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한 증권사가 시장금리 대비 0.15%포인트 이상 낮은 금리에 대거 주문을 내 기대한 가격보다 훨씬 비싸게 낙찰받았다”며 “이제 회사채 수요예측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증권사들이 채권을 서로 비싸게 인수해주면서 손실을 키운 ‘랩·신탁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근 회사채 금리는 올해 2~3번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제하고 형성돼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가 기대에 못 미치면 채권 금리가 오르면서 회사채를 염가에 인수한 증권사들이 대규모 평가손실을 떠안아 자칫 시장 전반의 시스템 위기로까지 번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배정철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