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 인질 석방하라"…구호품 끊는 네타냐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단계 휴전협상 난항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 구역인 가자지구에 구호품 반입을 중단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휴전 1단계 시한인 지난 1일 이후에도 휴전 연장에 합의하지 않은 데 따른 조치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2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날 아침을 기해 가자지구에 모든 상품과 보급품 진입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합의 1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이스라엘이 동의한 ‘위트코프 프레임워크’를 하마스가 수용하길 거부한 데 따른 조치”라며 “이스라엘은 우리 인질의 석방 없는 휴전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처는 라마단과 유월절 기간까지 휴전을 연장하자는 스티브 위트코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동특사의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하마스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슬람 신자의 금식일인 라마단은 올해의 경우 3월 29일까지이고, 유대교 명절인 유월절은 4월 20일까지다. 이 기간에 휴전을 이어가기로 양측이 합의하면 곧바로 하마스가 남은 생존 인질과 사망자 유해의 절반을 돌려보내고, 이후 영구 종전이 합의되면 나머지 절반을 송환하자는 게 위트코프 특사가 제안한 휴전안의 핵심이다.
위트코프 특사의 제안은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휴전 2단계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가운데 새롭게 나온 절충안으로 평가된다. 일단 이미 시한을 넘긴 1단계 휴전을 약 50일 연장하면서 2단계 휴전안 논의를 계속하자는 것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내각 회의에서 위트코프 특사의 제안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이소현 기자 [email protected]
이스라엘 총리실은 2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날 아침을 기해 가자지구에 모든 상품과 보급품 진입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합의 1단계가 끝난 상태에서 이스라엘이 동의한 ‘위트코프 프레임워크’를 하마스가 수용하길 거부한 데 따른 조치”라며 “이스라엘은 우리 인질의 석방 없는 휴전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처는 라마단과 유월절 기간까지 휴전을 연장하자는 스티브 위트코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동특사의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하마스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슬람 신자의 금식일인 라마단은 올해의 경우 3월 29일까지이고, 유대교 명절인 유월절은 4월 20일까지다. 이 기간에 휴전을 이어가기로 양측이 합의하면 곧바로 하마스가 남은 생존 인질과 사망자 유해의 절반을 돌려보내고, 이후 영구 종전이 합의되면 나머지 절반을 송환하자는 게 위트코프 특사가 제안한 휴전안의 핵심이다.
위트코프 특사의 제안은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휴전 2단계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가운데 새롭게 나온 절충안으로 평가된다. 일단 이미 시한을 넘긴 1단계 휴전을 약 50일 연장하면서 2단계 휴전안 논의를 계속하자는 것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내각 회의에서 위트코프 특사의 제안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이소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