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마린솔루션 "5년내 매출, 4배 늘릴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병옥 대표의 공격 경영
탄소중립·급증하는 전기 수요
해상풍력이 최고의 에너지 대안
해저케이블 포설은 국내 유일
2030년 매출 5000억 도전장
하반기 대만 필두로 해외 진출
탄소중립·급증하는 전기 수요
해상풍력이 최고의 에너지 대안
해저케이블 포설은 국내 유일
2030년 매출 5000억 도전장
하반기 대만 필두로 해외 진출


LS전선은 2023년 KT서브마린을 인수해 LS마린솔루션으로 이름을 바꿨다. LS전선이 수주한 해저케이블 일감을 토대로 빠르게 사세를 불렸다. 매출은 2022년 428억원에서 지난해 1303억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고, 같은 기간 66억원 적자에서 124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김 대표가 5년 내 4배 성장을 자신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해상풍력 시장이 빠르게 커지는 데다 해저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기업은 국내에 LS마린솔루션밖에 없어서다. LS마린솔루션은 포설선 3척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한 척(미래로호)은 국내에 하나뿐인 매설 전용선이다.
그는 “‘화석연료로 귀환’을 선언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도 해상풍력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투자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거대 시장인 유럽연합(EU)이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기업에 탄소중립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2030년 넷제로를 목표로 내건 애플은 국내 협력사에도 목표 시점에 맞춰 100% 신재생에너지로 제품을 생산하라고 다그치고 있다.
김 대표는 “세계적인 탄소중립 움직임에 따라 한국 정부도 0.1기가와트(GW) 규모인 해상풍력발전 생산량을 2030년까지 14.3GW로 늘리기로 했다”며 “국내에서만 매년 4000억~5000억원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시장이 생기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 진출 계획도 세웠다. 모기업 LS전선과 함께 입찰에 참여한 대만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대표적 예다. 김 대표는 “대만에는 포설 전문 업체가 없는 데다 중국 기업은 입찰이 제한된다”며 “대만 프로젝트 수주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 개척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 입찰 결과는 이르면 올 하반기에 나온다. 김 대표는 “LS마린솔루션의 가장 큰 경쟁력은 LS전선과 함께 ‘턴키’(케이블 납품 및 시공 일괄 진행)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발주 업체들이 턴키로 일감을 맡기려는 추세가 확산하는 만큼 수주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미국에서도 해상풍력 수요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미국 전력난을 고려할 때 화석연료만으로 부족한 전기를 다 채우기는 어렵다”며 “2028년 LS전선의 미국 케이블 공장이 가동에 들어가는 만큼 턴키 방식으로 미국 해저케이블 포설 시장을 뚫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통신케이블도 미래 먹거리 중 하나로 꼽았다. 그는 “구글, 메타 등과 해저 통신케이블 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토대로 MS와도 신규 프로젝트를 협의 중”이라고 했다.
박의명/김채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