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도법인의 인도 증시 상장을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당초 다음달 상장을 계획했으나 글로벌 증시 급락으로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어려워지면서 연기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인도법인 기업공개(IPO)를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 수정본 작업을 완료했지만 제출 시점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하면 증권신고서 제출과 수요 예측 등 IPO를 위한 막바지 절차가 남는다. 인도 자본시장 규정에 따르면 상장을 원하는 기업은 당국의 최종 검토의견(예비승인)을 받은 날로부터 1년 내 상장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LG전자는 지난달 13일 인도증권거래위원회에서 상장 예비 승인을 받았다.

인도 1위 가전 업체인 LG전자의 상장은 현지에서 ‘IPO 대어’로 꼽히고 있다. 인도 자본시장에선 LG전자 인도법인의 가치를 130억달러(약 18조원)로 평가했다. 이날 LG전자 시가총액(11조6681억원)보다 많다. 상장을 통해 LG전자는 최대 15억달러를 조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상황에서 변화가 생긴 건 최근 글로벌 증시의 흐름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으로 세계 통상 질서에 변화가 나타나고, 전 세계적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하면서 증시가 약세로 돌아선 것이다. 최근 LG전자 내부에선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시점에 상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LG전자의 인도법인 매출과 이익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온 만큼 상장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LG전자가 작성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엔 지난해 말 기준 재무제표가 반영된다. 인도법인 기업가치를 높게 받아야 하는 LG전자로서는 더욱 개선된 경영실적을 반영한 새로운 재무제표로 투자자 설명회를 진행하는 편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LG전자 관계자는“인도법인 최종 상장 여부는 시장 상황 등에 따라 결정할 계획”이라며 “현재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박의명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