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 관세를 2~3주 안에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새로 부과한 145%의 대중 관세율이 50%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향후 2∼3주 안에 (새로운) 관세율을 정할 것”이라며 “중국도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전날 “중국에 대한 145% (추가) 관세는 매우 높다. 협상 후 관세율이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한 데 이어 인하 시점까지 언급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직접 협상이 진행 중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와 관련, 백악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대중 관세율이 50∼65% 정도로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국가 안보와 무관한 품목에는 약 35%의 관세를,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중요한 품목에는 최소 100% 이상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이 버티기로 일관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관세를 올렸다가 시장에서 역풍이 불자 갑자기 중국에 유화 제스처를 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한 일방적인 관세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상무부는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미·중 간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을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임다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