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가 때릴수록 내수 비중 큰 中 기술주 탄력"
“미국이 관세 전쟁 수위를 높일수록 중국은 강력한 내수 부양책을 내놓을 겁니다.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내수주와 내수 비중이 높은 테크주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제충 CSOP자산운용 상무(사진)는 1일 한국경제신문 인터뷰에서 “관세정책이 미국 내 공급망을 불안하게 만들고 물가를 끌어올리는 상황”이라며 “중국은 수출기업 피해를 감수하더라도 내수 부양책으로 타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CSOP는 중국 굴지의 자산운용사인 난팡자산운용의 홍콩 자회사다. 항셍인베스트먼트에 이어 홍콩에서 두 번째로 운용자산이 많다. 지난해 10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내놓은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아시아 첫 단일종목 레버리지·인버스 ETF를 상장했다.

이 상무는 중국 기술기업은 내수만으로도 안정적인 실적을 올릴 구조를 갖춰 기술주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항셍테크지수에 포함된 기업 이익에서 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80% 수준”이라며 “보조금 혜택이 실적으로 연결되는 중국 전기자동차 기업을 비롯해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 배달 플랫폼 메이퇀 등이 대표적인 내수 부양 수혜주”라고 강조했다.

이 상무는 종목을 직접 고르기 어려운 투자자라면 중국 기술주 30종목을 모은 항셍테크 ETF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CSOP는 세계 최대 항셍테크 ETF인 ‘CSOP 항셍테크’를 운용하고 있다. 샤오미, 텐센트, 알리바바 등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그는 “홍콩시장에서 항셍테크 ETF를 ‘직구’하면 추적오차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며 “규모가 큰 만큼 거래량도 많아 유리한 가격에 ETF를 사고팔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수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