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라 스칼라' 이끄는 정명훈 "아시아인 최초 감독이요? 나라 빛낼 기회라 좋았죠"
“사실 전 일평생 외국 생활을 해왔잖아요. 그래서 라 스칼라 극장의 첫 아시아 음악 감독이란 타이틀 자체가 제게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그런 생각은 있었죠. 이건 분명 한 지휘자로서 나라를 빛낼 좋은 기회이고, 그렇다면 꼭 해야 한다고요.”

이탈리아 오페라 최고의 명가인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의 차기 음악 감독으로 선임된 지휘자 정명훈(72)은 19일 부산 연지동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라 스칼라 극장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정명훈이 리카르도 샤이의 후임으로 2027년부터 음악 감독직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아시아 지휘자가 음악 감독에 선임된 건 라 스칼라 극장 247년 역사상 처음이다.

그는 라 스칼라 극장 차기 음악 감독으로 호명된 소감에 대해 “라 스칼라 극장과는 36년간 사랑했던 사이인데, 갑자기 결혼하게 된 느낌”이라며 “이젠 친구가 아닌 가족이 되는 만큼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1989년도 이 극장에 데뷔했을 때부터 이미 알 수 있었습니다. 놀라울 정도로 제 음악을 잘 이해해주는 곳이란 걸요.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정말 잘하는 악단을 많이 만났지만, 이만큼 잘 통하는 악단을 만나는 건 쉽지 않아요. 여러 유명 오케스트라들이 음악 감독직을 제안해도 둘러대며 거절할 수 있었지만, 라 스칼라 극장 한 군데만큼은 도저히 ‘노(NO)!’를 외칠 수가 없었어요(웃음).”
'伊 라 스칼라' 이끄는 정명훈 "아시아인 최초 감독이요? 나라 빛낼 기회라 좋았죠"
1778년 개관한 라 스칼라 극장은 베르디, 벨리니, 로시니, 푸치니 등 전설적 작곡가의 걸작 오페라들이 대거 초연된 명문 극장이다. 벨리니의 ‘노르마’, 베르디의 ‘나부코’와 ‘오텔로’, 푸치니의 ‘나비 부인’과 ‘투란도트’ 등이 이 극장에서 처음 공개됐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클라우디오 아바도, 리카르도 무티, 다니엘 바렌보임 등 세계적인 지휘자들이 음악 감독을 지낸 극장으로도 유명하다. 음악 감독은 극장의 공연 레퍼토리 선정부터 단원 선발까지 음악적 부분을 총괄한다. 정명훈은 1989년 라 스칼라 극장에 데뷔한 이후 오페라 9편을 84차례 지휘하고, 141회의 음악회를 이끄는 등 깊은 인연을 맺어왔다. 이는 역대 음악 감독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출연 횟수다.

2027년부터 라 스칼라 극장 음악 감독과 부산콘서트홀·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 예술감독을 겸하는 그는 “라 스칼라 극장 감독으로서의 활동이 부산콘서트홀·오페라하우스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말했다. “제가 하는 일은 눈에 안 보이는 일입니다.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좋은 씨를 심어놓은 일이죠. 오랜 기간 지속해야 하고, 아주 힘든 과정이겠지만, 발전의 방향을 잘 잡아주는 게 지휘자의 가장 큰 책임이잖아요. 제 행동이 분명 국내 클래식 음악계에 도움이 될 거라 믿습니다.”
'伊 라 스칼라' 이끄는 정명훈 "아시아인 최초 감독이요? 나라 빛낼 기회라 좋았죠"
정명훈에게 궁극적인 목표를 묻자, “그런 건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내년 12월 7일에 라 스칼라 극장 시즌 오프닝 무대에 서게 되는데, 베르디 오페라 ‘오텔로’를 하지 않을까 싶어요. 30여 년 전에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극장,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와 같은 작품을 녹음까지 했었는데, 이젠 그때보다 잘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하는 게 공부입니다. 아내가 ‘한평생 하고 또 공부를 하느냐’란 말을 하는데, 조금씩 더 깊이 파고들어가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죠. 지금 나이가 들었지만, 추호도 젊어지고 싶은 마음은 없어요. 절대 안바꿉니다. 지금도 바보인데, 예전엔 휠씬 더 바보였거든요. 이젠 더 여유 있고 편안하게 음악과 음악가들을 사랑해 줄 수 있는 마음으로 지휘를 하고 싶어요.”

정명훈은 냉전 당시인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2위에 오르며 피아니스트로 먼저 이름을 알린 음악가다. 이후 이탈리아 명지휘자인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를 사사하면서 지휘자로 전향했다. 1989년 프랑스 바스티유 오페라 극장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면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도 이탈리아 로마 산타 체칠리아 오케스트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독일 자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서울시향 등을 이끌면서 ‘지휘 거장’ 반열에 올랐다. 현재는 독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수석 객원 지휘자,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명예 음악감독, KBS교향악단의 계관 지휘자, 부산콘서트홀·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 예술감독 등을 겸하고 있다.

김수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