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직통라인 잡자"…트럼프 장남 면담장에 재계 총수 총출동
입력
수정
지면A2
CJ·LS·셀트리온·KB 등과 '릴레이 회동'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롯데·네이버 등 15개 기업 미팅
김동관 등 한화 3형제와 첫 면담
美 관심 큰 방산·조선 협력안 논의
오후엔 거제서 美해군성 장관 만나
투자 동참 권했을 가능성
각 기업에 연관 사업 협업 제안
1박2일 일정 마치고 밤늦게 출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기 위해 30일 서울 테헤란로 조선팰리스 강남호텔을 찾은 기업 총수들이다. 트럼프 정부의 막후 실세와 ‘직통 라인’을 트기 위해 예정된 일정을 급히 바꾼 이들은 각각 1시간 정도 미국의 관세 정책 향방과 미국 투자 분위기 등에 관해 폭넓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동행한 벤처투자기업 1789캐피털 공동 설립자인 오미드 말릭 대표, 크리스토퍼 버스커크 최고투자책임자(CIO)와 함께 국내 기업에 펀드 출자 등을 요청했다.
◇금융·IT 등 다양한 기업 회동
이들을 맞이한 트럼프 주니어와 말릭 대표, 버스커크 CIO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막후 실력자로 꼽힌다. 트럼프 주니어는 JD 밴스 미국 부통령을 비롯해 내각 인선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말릭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캠페인과 행정부 구성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등의 지지선언을 끌어낸 작년 8월 ‘마러라고 회의’를 주도한 사람이 말릭 대표다. 버스커크 CIO는 밴스 부통령과 함께 보수 성향의 정치 단체 로크브리지네트워크를 공동 설립하는 등 트럼프 정부의 정책 자문을 맡고 있다.
이날 ‘릴레이 면담’에서 스타트를 끊은 사람은 김 부회장 등 한화 3형제였다. 이들은 트럼프 정부가 큰 관심을 보이는 방위산업과 조선 분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는 최근 미국 투자에 가장 열을 올리는 기업으로 꼽힌다. 한화오션은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를 인수했고, 한화솔루션은 수조원을 들여 조지아주에 미국 최대 태양광 모듈 생산단지를 짓고 있다. 업계에선 김 부회장이 트럼프 주니어에게 세제 혜택 확대 등을 언급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부회장은 면담 직후 한화오션 경남 거제사업장으로 이동해 현장을 찾은 존 펠런 미 해군성 장관을 만났다.
◇개인 사업차 방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은 인도네시아 출장에서 돌아오자마자 조선팰리스호텔로 향했다. 그는 트럼프 주니어와 미국 내 바이오 분야 추가 투자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2년 미국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중 처음으로 미국 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롯데호텔이 미국에서 운영하는 호텔과 롯데케미칼의 루이지애나 석유화학단지에 대한 얘기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서정진 셀트리온 회장도 이번 만남에서 다양한 의제를 놓고 트럼프 주니어 측과 협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서 회장은 미국 영업을 직접 뛰면서 글로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해진 의장이 면담에 나선 네이버는 “인공지능(AI) 협력 등에 관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일부 기업은 트럼프 주니어가 미국 행정부에 공식 직함이 없는 데다 자신이 벌이는 사업에 돈을 태울 투자자를 모으기 위해 방한했다는 점에서 만남을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측과 소통 창구를 만들 수 있는 자리였지만 개인 사업에 투자하라는 식의 ‘청구서’도 함께 내밀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주니어는 트럼프 가족의 호텔과 자산을 운용하는 트럼프오거니제이션에서 부사장을 맡고 있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1박2일의 짧은 일정을 마치고 출국했다.
김우섭/조미현/김진원 기자 duter@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