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막 내리는 미국 '빵집 이민'
미국엔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같은 한국 프랜차이즈 빵집이 즐비하다. ‘K베이커리’ 열풍이 빠르게 확산한 영향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미국에서 운영 중인 파리바게뜨 매장은 188곳이다. 뚜레쥬르 역시 138개의 매장을 두고 있다. 두 브랜드 모두 매년 30~40곳씩 점포를 늘려왔다. 다양한 상품 구색과 세련된 인테리어가 한국 프랜차이즈 빵집의 강점으로 통한다.

‘K베이커리 속도전’이 가능했던 이유가 하나 더 있다. ‘부자 영주권’으로 통하는 투자이민 비자 EB-5(Employment-Based Immigration-5)가 한국인 사업자를 모으는 데 혁혁한 기여를 했다. 미국은 자국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EB-5 비자 제도를 시행 중이다. 90만달러(약 13억원) 이상을 투자해 1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면 본인과 가족이 영주권을 받을 수 있다. 한국 투자자는 이 제도를 지렛대 삼아 국내 프랜차이즈 업체와 미국 시장에 동반 진출한 셈이다. 투자자들은 자금을 대고, 업체는 행정 지원과 컨설팅을 담당했다. 미국에 진출한 한국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미국에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는 권리와 미래 소득원을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론 미국 ‘빵집 이민’이 희귀해질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25일(현지시간) EB-5를 폐지하고 500만달러(약 71억원)에 영주권을 주는 ‘골드카드(Gold Card)’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영주권 가격으로 제시한 500만달러는 한국 0.1% 자산가의 순자산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EB-5 제도에 대해 “싼값으로 그린카드(영주권)를 갖는 방법으로 난센스이자 사기”라고 말했다.

허들이 높아진 것은 투자이민만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출생 시민권제’를 없애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불법 이민자의 자녀에게 시민권을 줄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행정명령이 시행되면 일부 한국인이 시도한 ‘원정출산 꼼수’도 차단된다. ‘미국=이민자의 나라’ 공식은 이제 옛말이다.

송형석 논설위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