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집값 뛰자 강남3구 등 가계대출 지역별 모니터링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 추이를 지역별로 나눠 주간 단위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한 이후 강남을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뛰어오르면서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최근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진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 현황을 파악 중이다. 이를 위해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신청·승인 건수와 공급액을 지역별로 나눠 제출받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역을 구분해서까지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은 주택 매매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1~2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확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서울 송파구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72%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초기 집값이 급등하던 2018년 2월 첫째 주(0.76%) 후 약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문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의 영향이 본격화하기도 전에 가계대출 증가 폭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해 작년 11월(5조원)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정의진 기자 [email protected]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최근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진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 현황을 파악 중이다. 이를 위해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신청·승인 건수와 공급액을 지역별로 나눠 제출받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역을 구분해서까지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은 주택 매매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1~2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확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서울 송파구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72%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초기 집값이 급등하던 2018년 2월 첫째 주(0.76%) 후 약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문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의 영향이 본격화하기도 전에 가계대출 증가 폭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해 작년 11월(5조원)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정의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