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뉴욕증시가 반등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에도 불구하고 '연내 2회 금리 인하'라는 기존 통화정책 궤도 전망을 확인하면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대비 383.32포인트(0.92%) 상승한 4만1964.63에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0.63포인트(1.08%) 오른 5675.2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46.67포인트(1.41%) 오른 1만7750.79에 각각 마감했다.

Fed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4.25∼4.5%로 동결했다. 시장 투자자들은 Fed가 인플레이션 전망을 크게 높이지 않은 데다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유지한 데 주목했다.

Fed는 이날 함께 공개한 수정 경제전망(SEP)에서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을 종전 2.1%에서 1.7%로 내리고, 인플레이션 전망을 2.5%에서 2.7%로 올리면서도 연내 2회 금리 인하라는 기존 통화정책 전망을 유지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이날 회견에서 '관세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것으로 드러난다면 그냥 간과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경기침체 확률은 다소 올랐지만 여전히 낮다며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침체) 우려를 일축했다.

투자자들은 이런 결정과 파월 의장 회견에 대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이라고 해석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메리프라이즈 파이낸셜의 러셀 프라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약간 상승했고, 성장률 전망은 수치는 약간 하락했다"며 "시장은 현재 주식시장을 압박하는 전반적인 불확실성에 Fed가 가세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라고 짚었다.

국제 금값은 Fed 결정에 안도하며 전날에 이어 이날 또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전장 대비 0.6% 오른 온스당 3051.99달러로 고점을 높이며 종전 최고치 기록을 다시 세웠다.

개별 종목단에서 보면 미국에서 두 번째 큰 액화천연가스(LNG) 생산업체 벤처 글로벌은 LNG 수출을 위한 연방 에너지부 승인을 획득한 뒤 주가가 2.85% 뛰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백악관에서 미국 정유사 10여 곳의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에너지 패권 회복 및 전력 수요 급증 대책을 논의할 것이란 보도가 나온 후 미국의 대형 정유업체 엑슨모빌·셰브론·마라톤 주가가 모두 1~2% 이상 올랐다.

세계 최대 항공우주기업 보잉은 최고재무책임자(CFO) 브라이언 웨스트가 "이번 분기 들어 현금 흐름과 공장 운영 상황이 개선됐다"고 밝힌 데 힘입어 주가가 6.84% 뛰었다.

비트코인 최다 보유 기업으로 알려진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가상자산 추가 매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우선주 500만주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힌 뒤 주가가 7.43% 상승했다.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 주가는 4.75%,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 주가는 6.73% 각각 뛰어올랐다.

최근 신임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하고 턴어라운드 기대를 모은 전통의 반도체 기업 인텔은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멈추고 6.94% 반락했다.

전날 일제히 하락 마감했던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7'(M7)은 이날 모두 반등에 성공했다. 특히 테슬라는 4.68% 상승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서 로보택시를 운행하기 위한 첫 번째 관문을 통과한 것이 호재가 됐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