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산업 촉진세제법 낸 민주 정일영 "고용 창출할 해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中과 달리 국내 생산에 대한 세제 지원 거의 없어
"국내 투자 유인할 실질 인센티브 절실
고용 늘고 투자 확대되면 오히려 장기 이익"
"국내 투자 유인할 실질 인센티브 절실
고용 늘고 투자 확대되면 오히려 장기 이익"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미국과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은 전략산업에 대규모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며 "한국도 손을 놓고 있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지난달 전략산업 생산 촉진 세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가 지난 2월 충남 아산 현대자동차 공장에 방문한 뒤 당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낸 여러 법안 중 하나다.
정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전략산업을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의약품, 이차전지, 미래형 운송 수단 등으로 규정한다. 기업이 국내에서 관련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경우, 생산비용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법인세에서 최대 20%까지 공제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업 실적이 좋지 않아 공제액보다 납부할 세금이 적은 경우 대통령령으로 별도의 한도를 정한다. 기업에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의원에 따르면 미국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를 통해 배터리 생산량 1㎾h당 45달러를 지원하고, 중국은 투자 비용의 20~40%를 보조한다. 그에 반해 한국은 국내 생산에 대한 세제지원 제도가 사실상 없다는 게 정 의원의 주장이다. 그는 "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설비투자에 한정된 세액공제가 생산 비용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미국이 국내 생산을 촉진하는 세제 지원책을 일종의 무역 장벽으로 볼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정 의원은 “일부 기업에만 특혜를 주는 것이 아닌, 내수 확대와 국내 고용 창출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액 공제 혜택을 늘리면 세수 감소가 우려된다는 시각도 있다. 정 의원은 "세수 우려는 단기적인 시각”이라며 “전략산업 국내 투자가 늘고 고용이 창출되면 결국 전체적인 세수 기반이 넓어질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가만히 있다가 국내 투자와 일자리가 줄어들면 장기적으로 더 큰 경제적 손실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기업이 ‘국내에 투자하는 게 더 낫다’고 판단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며 “세제 혜택과 함께 시설 투자, 인력 양성 등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해련/성상훈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