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보기술, 스쿨패스와 모바일 신분증 연동 서비스 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최초 서비스…네이버·KT 연계 정확한 신원 인증 공표 시스템 구축

모바일 신분증과 스쿨패스를 연동한 서비스는 국내 처음이다.
29일 바른정보기술에 따르면 이 회사가 지난해 11월 출시한 스쿨패스는 학교 정문이나 주 출입문 앞에 설치한 키오스크에서 네이버·카카오·패스(PASS)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이용해 본인 인증을 거친 뒤 발급받은 출입 라벨지를 자신의 상의에 부착해 학교 방문자의 신원 인증 여부를 누구나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바른정보기술은 스쿨패스 개발에 이어 지난 2월 한국조폐공사 모바일신분증 운영팀으로부터 개발 승인을 받아 국내 최초로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과 연동한 출입 관리 시스템도 개발했다.
국내 에듀테크 업계에서 유일하게 정부 공식 모바일 신분증 연동 기술을 구현해 기술력과 정책 신뢰성을 만족시켰다는 게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스쿨패스는 단순한 인증을 넘어 보안 감시 권한을 교직원은 물론 학생과 행정실 직원까지 포함한 모든 구성원에게 분산시켜 자율 보안 구조를 실현했다"며 "인증받지 않았다는 사실이 누군가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학교 출입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스쿨패스는 별도 관리 전담 조직이 필요하지 않고, 운영을 자동화해 행정 업무를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스쿨패스는 출시 한 달 만에 전국 30개 학교에 납품됐다.
김상인 바른정보기술 대표는 "스쿨패스는 단순한 출입 관리 솔루션이 아니라 '출입 보안'이라는 영역에서 학생과 교직원, 학부모 모두에게 신뢰받는 시스템"이라며 “학교 교직원의 업무량 감소와 학생들의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나주=임동률 기자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