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4200여억원 규모의 지역 자동차 산업 위기 대응책을 내놨다. 수출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내연기관 중심의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 구조를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29일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5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사진)를 열고 지역 자동차 산업 위기 극복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르노코리아와 자동차 부품 기업 관계자와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부산시는 4266억원 규모의 3대 전략, 7대 세부 과제로 구성된 '부산 자동차 산업 위기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지역기업 경영 위기를 극복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물류 혁신과 시장 다각화를 통한 자동차 부품산업의 역량 강화와 미래차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시설 투자자금을 지원한다. 부품기업의 판로 확대와 대체 부품 개발 지원 등이 이뤄진다.
미래차 시장 선점을 인공지능(AI) 활용 미래차 전동화 요소 부품 기술산업화 지원사업과 자이언트캐스팅 공용센터 구축을 통한 초대형 차체 일체화부품 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미래차 전용플랫폼 지원을 위한 확장현실(XR) 기반의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구축하고, 에너지 저장 및 구동 부품소재 안전 성능·실증센터와 미래차 사이버보안 검증 지원센터 등의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관세 전쟁에서 지역 기업을 보호하고, 장기적으로 미래차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