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라 산림청 차장이 14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산사태 방지 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이미라 산림청 차장이 14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산사태 방지 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산사태로부터 국민의 생명·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을 14일 발표했다.

올해 산사태 방지 대책은 △2025년 영남지역 대형산불 피해지 집중관리 △위험정보 제공방식 개선을 통한 사전대피 강화 △장마철 등 위험시기 총력대응 △수요자 맞춤형 산사태 안전 문화 확산 등에 중점을 뒀다.

우선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영남 산불 피해지역을 집중관리 한다.

산불 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 위험등급 및 피해 영향 범위를 긴급 조정하고 이를 산사태 정보시스템에 탑재했다.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대피소, 임시주거시설의 안전성 여부, 대피경로 등 대피체계를 선제적으로 정비했다.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산사태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과거 대형산불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산사태 발생위험을 1~48시간 전에 예측해 주는 예측 모델도 긴급 조정해 위험정보가 누락되지 않도록 했다.

산불 피해지역 중 민가로부터 100m 이내에 있는 지역 등 2차 피해 우려가 있는 6466개 소에 대해 긴급 진단을 실시하고 복구 필요 대상지 615개 소를 선정, 우선순위에 따라 복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중 2차 피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279개 소에 대해서는 다음 달 15일 이전에 최우선으로 응급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정보의 제공 대상을 급경사지(행정안전부), 도로 비탈면(국토교통부) 등 위험 사면을 관리하는 관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재난 안전총괄부서까지 확대해(229부서 추가) 재난 대응 연계 체계를 강화했다.

제공방식도 기존 문자메시지에서 알림톡으로 전환해 더욱 신속하게 위험정보를 제공, 선제적으로 주민들이 대피하도록 조치했다.

위험시기 재난관리자원을 총동원해 총력대응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여름철 주민대피, 응급조치 등 산사태 대응에 투입해 현장 대응을 강화했다.

산사태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수요자 맞춤형 교육·홍보도 강화하기로 했다.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팝업 퍼즐·워크북 등 산사태 안전교육 교재를 6월까지 개발하고 학교 등 찾아가는 산사태 예방 교육도 9월까지 실시한다.

사방댐 대상지 공모를 통해 주민이 직접 산사태예방을 위한 사방댐 대상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오는 8월 29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 피해지역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