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클래식 변주…행성 이야기 관현악으로 표현했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 지휘자 지중배
한경arte필 더클래식 시리즈 지휘
20세기 英 클래식 거장들 조명
"'오페라의 유령'과 '행성'의 만남
파이프 오르간 타고 감동 전달"
29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공연
한경arte필 더클래식 시리즈 지휘
20세기 英 클래식 거장들 조명
"'오페라의 유령'과 '행성'의 만남
파이프 오르간 타고 감동 전달"
29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공연

“‘스타워즈’의 작곡가 존 윌리엄스 등 후대 수많은 아티스트에게 영향을 미친 홀스트, 생존해 있는 뮤지컬 작곡가 웨버, 두 거장의 음악을 한 무대에서 느낄 수 있는 건 흔치 않은 일이지만 필연적이기도 합니다. 오페라의 유령 교향적 모음곡에서 서울 롯데콘서트홀의 파이프오르간이 연주되는 점을 기대해주세요.”
지중배는 파이프오르간과 친숙한 지휘자다. 연주도 해보고, 지휘도 여러 차례 해봤다. “독일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데, 성당에서 가끔 대타로 연주하기도 해요. 유럽에선 오르간이 편성된 교향곡이 많고, 연주회를 성당에서 열 때도 많아요. 오르간 연주자는 오케스트라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오케스트라 소리가 약간 늦게 전달되는데 이번 공연을 위한 리허설 때 이 타이밍을 서로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페라의 유령’ 하면 떠오르는 것이 브로드웨이를 대표하는 뮤지컬이다. 언뜻 보면 이번 연주를 크로스오버 무대라고 착각할 수도 있지만 지중배는 이런 구분에 동의하지 않는다.
“클래식의 범주를 확정할 수 있을까요? 시간 흐름에 따라 문화가 교차되고 교류되면서 클래식 장르에 대한 해석과 범주는 항상 변해왔어요. 다양한 시간과 세대, 문화권에서 이해하고 즐기는 작품으로 살아남는다면 그것이 클래식이라고 생각해요. 레너드 번스타인의 작품인 브로드웨이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주요 장면을 모아 편곡한 곡이 오래전부터 교향악단의 정기 레퍼토리 곡으로 자리 잡은 사례도 있어요. 언젠가 기회가 되면 웨버에게 그래미상 최우수 컨템퍼러리 클래식 작곡상을 안겨준 ‘레퀴엠’도 연주해보고 싶어요.”
홀스트의 행성은 관악이 현악만큼이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난곡이다. 관악기 그룹 편성 비중이 크기에 관악 연주자의 기량을 평가하는 단골 오디션 곡이기도 하다.
지중배는 “관악의 비중이 크더라도 연주자에게 영감과 동기를 전달하고 협력해 좋은 앙상블과 소리를 만들어내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홀스트가 그려낸 태양계 행성에 이야기를 입혀 관객에게 그 이야기를 전달드리려고 한다”고 했다.
이어 “행성 중 ‘목성’은 여러 연주회에서 지휘해본 경험이 있지만 전곡을 연주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여행과 음식을 좋아하는 내게 새로운 곡을 준비하는 일은 여행을 준비하며 여러 자료를 찾는 설렘과 같아 즐겁게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무대에는 특수 조명 디자인으로 공연장이 우주로 변신하는 연출도 준비돼 있다. 특별한 연출로 관객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도록 했다.
어린 시절부터 스토리텔링을 좋아해 영화감독, 작가를 꿈꾸기도 한 지중배에게 다양한 도전이 있는 음악적 여정은 늘 설레고 즐겁다. 예술 장르 중에서도 음악을 제일 사랑한 그는 음악으로 극을 만들고 이야기를 풀어내는 지휘자가 됐다.
“교향곡을 지휘할 땐 저만의 상상력으로 장면을 만들고, 오페라와 발레를 지휘할 때면 극 중 인물이 된 마음으로 지휘해요. 유럽에서 데뷔한 뒤 10여 년간 오페라, 발레 등 극예술장르 프로덕션을 50편 넘게 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해요. 반복되는 공연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매번 다른 감정과 시점으로 극을 만듭니다. 그 과정이 정말 가슴을 뛰게 합니다. 유럽과 한국을 오가며 연주하지만 그 여정이 이야기꾼이 된 것처럼 무척 행복해요.”
지중배는 한경arte필하모닉과 지속적으로 호흡을 맞추는 마에스트로다. 지난 4월에는 유니버설발레단의 ‘지젤’ 공연에 함께했다. 지휘자로서 느끼는 한경arte필하모닉의 강점은 무엇일까.
“한경arte필하모닉은 교향악단 중 평균적으로 가장 젊은 음악인이 모여 있는 것 같아요. 몇 년간 정기연주회 외에도 오페라와 발레 연주에서 실력 있는 연주자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죠. 일본 요미우리신문 산하의 요미우리교향악단 이후로 생긴 귀한 언론사 산하 교향악단이기도 하고요. 국공립오케스트라와 방송교향악단의 장점을 가진 민간 교향악단인데, 한국 문화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나갈 것으로 기대해요.”
이해원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