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손열음이 '키다리 아저씨' 故박성용 회장을 추모하는 방법

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 20주기 추모 음악회
"하늘에 내리는 비처럼 땅에 영양분 심어주던 분"
슈만, 멘델스존, 라벨, 차이콥스키 연주로 추억
“제게 다른 연주자분들처럼 꿈의 무대가 있냐고 물어보신다면 전 평상시에 그런 꿈을 잘 안 꾸고 살았거든요. 그런데 지난 10년 동안 가장 많이 상상해본 무대가 있었다면 오늘 무대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고(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 20주기 추모 음악회에서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연주하고 있다. 손열음은 이날 1부에선 빨간 원피스를, 2부에선 검정 원피스를 입었다. /사진 출처. 금호문화재단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지난 23일 저녁 서울 연세대 신촌캠퍼스에 있는 금호아트홀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은 고(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의 타계 20주기를 기리는 독주회를 손열음이 금호문화재단과 함께 마련한 자리였다. 추모에 초점을 두려던 손열음의 제안에 따라 공연 관람은 티켓 판매가 아닌 전석 초대로 진행됐다. 이날 프로그램도 박 회장과의 인연이 담긴 곡들로 구성됐다.

박 회장은 1996년부터 금호문화재단의 이사장직을 맡아 음악 영재 발굴 사업에 힘썼다. 2005년 타계했지만 그가 만든 재단은 피아니스트 손열음·김선욱·선우예권·조성진·임윤찬,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 첼리스트 고봉인 등 음악가들을 발굴해냈다. 이날 공연은 음악가들이 박 회장과의 추억을 떠올리는 영상으로 시작됐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의명은 “음악을 사랑하셨고 넓은 안목으로 음악가들을 도울 모든 길을 생각하셨다”며 박 회장을 추억했다. 손열음도 “하늘에서 내리는 비처럼 모든 땅에 영양분을 심어주려 하셨던 분”이라고 했다.
고(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 /사진 출처. 금호문화재단
공연 1부는 손열음이 1998년 박 회장에게 처음 들려줬던 곡들과 2005년 고인을 마지막으로 만난 공연에서 연주한 작품으로 채워졌다. 서막은 슈만의 아베크 변주곡이었다. 슈만이 젊은 시절의 풋풋함을 담아낸 이 곡을 손열음은 음 하나하나를 또렷이 살려가며 소리가 건반 위로 튀어 오르는 것처럼 연주했다. 선명하기보다는 먹먹한 쪽에 가까웠다. 초여름에 내린 빗방울들이 지면에 부딪쳐 ‘톡’ 터지듯 흩어지는 인상이었다.

다음 곡이었던 멘델스존의 ‘무언가’에선 소리가 찰랑거렸다. 많은 피아니스트들은 역동성을 살리기 위해 음을 뭉개며 빠르게 휘몰아치곤 한다. 그러다 보니 어떤 음은 다음에 나올 절정을 표현하기 조연에 그치기도 한다. 손열음의 손에서 나온 음들은 달랐다. 음 모두가 나름의 존중을 받았다. 반찬의 짠맛에 맞추려는 공깃밥이 아니라 그 자체의 질감을 즐기게 되는 알 단테의 밥알처럼 음표들이 저마다 존재감을 드러냈다. 곡의 말미엔 여운을 길게 남기기보단 담백함을 주는 쪽을 택했다. 피아니스트의 정성이 느껴지는 앙트레(따뜻한 전채 요리)였다.
고(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 20주기 추모 음악회에서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연주하고 있다. 손열음은 이날 1부에선 빨간 원피스를, 2부에선 검정 원피스를 입었다. /사진 출처. 금호문화재단
다음 요리로 나온 곡은 차이콥스키의 피아노를 위한 명상곡 D장조였다. 손열음의 강렬한 타건이 두드러진 곡이었다. 앞선 곡들이 수면에 부딪치는 물방울들 같았다면 이 곡은 공연장을 가득 채우는 음압이 매력이었다. 마지막 페달이 남긴 여운도 또렷했다. 라벨의 ‘라 발스’에선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면서 본능적인 청각의 즐거움이 두드러졌다. 라 발스는 박 회장이 손열음의 공연을 마지막으로 봤던 2005년 1월 들었던 곡이다.

2부 작품은 슈만의 크라이슬레리아나였다. 손열음이 오늘날 박 회장에게 들려주고 싶어했던 곡이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처럼 피아니스트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장조와 단조를 오가면서 뮤지컬 ‘지킬앤하이드’ 속 지킬 박사처럼 평온과 격정을 넘나들기도 한다. 손열음은 유연하게 속도를 조절하면서 감정을 충실히 전달했다. 때론 특정 음 하나를 콕 짚듯이 세게 치기도 했다. 하늘에 닿길 바라며 치는 종소리 같았다.
고(故)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 20주기 추모 음악회에서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연주하고 있다. 손열음은 이날 1부에선 빨간 원피스를, 2부에선 검정 원피스를 입었다. /사진 출처. 금호문화재단
마지막 연주에 관객들의 박수가 이어지자 손열음은 바흐의 ‘양들은 한가로이 풀을 뜯고’를 페트리가 편곡한 버전을 앙코르로 선보였다. 들판을 노니는 양들을 바라보듯 마음이 편안해지는 곡이었다. 건반에서 튀어나온 음들은 안개 낀 새벽의 수풀에 톡 떨어진 빗방울 소리처럼 또렷하면서도 부드러웠다. 박 회장의 호도 안개 낀 호수를 뜻하는 ‘문호(雯湖)’였다. 획을 풀어 읽으면 문화에 내린 비가 호수를 이룬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공연이 끝났을 땐 연세대의 잔디밭에도 늦봄의 비가 내리고 있었다. 우산 없이 맞을 만한 촉촉함이었다. “하늘에서 내리는 비” 같다던 손열음의 말이 떠올랐다.

이주현 기자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