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안에 온누리 상품권 환급을 확대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추경안이 정부안대로 국회에서 통과하면 지난해보다 카드 사용액이 늘어났거나,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한 이들은 사용액의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관련 사업에 1조4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방침이다.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사업을 시행하기로 하면서 온누리상품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은 지류형과 디지털로 나뉜다.
종이로 된 지류형 상품권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시중은행은 물론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우체국 등 전국 16개 금융회사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50만원까지 5% 할인가로 구입할 수 있는데 현금으로만 결제할 수 있다. 지류형 온라인상품권은 오프라인 가맹 점포에서만 쓸 수 있다. 가맹점에서 총구매금액의 60% 이상 구입하면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현금영수증 발급 대상이기도 하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온누리상품권 앱을 다운로드받아야 한다. 앱에서 본인 명의 계좌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등록해 금액을 충전한 뒤 카드나 QR코드로 결제할 수 있다. 할인율은 10%로, 지류형 온누리상품권보다 할인율이 두 배 높다. 최대 200만원까지 구매할 수 있다.
자동 충전도 가능하다. 잔액이 설정한 금액 미만이면 자동 충전된다. 자동 충전 금액은 최소 1만원부터 최대 100만원까지 설정 가능하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구매 후 7일 이내 미사용 충전 금액만 환불받을 수 있다. 기한이 지나면 충전 취소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품권 구매금액은 신용카드 실적에 포함되지 않는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다르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실적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전월 실적 충족이 필요할 때 도움이 된다. 게다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사용분은 40% 소득공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소득공제율 혜택도 크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는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나 온누리상품권 앱에서 확인하면 된다. 오프라인은 온누리상품권 스티커가 부착된 곳에서 쓸 수 있다. 온라인에서는 온누리시장, 온누리전통시장, 온누리굿데이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