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개헌 필요하지만…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원식 '개헌·대선 동시투표' 제안, 사실상 거부
李 "계엄요건 강화 개헌만 가능
권력구조 개편은 대선 이후에"
일각 "우원식과 공감대 이뤘다가
강성지지층 의식해 선회" 분석도
국힘 "대통령제 고치지 말자는 말"
비명계 "수습 핑계로 개헌 방관"
李 "계엄요건 강화 개헌만 가능
권력구조 개편은 대선 이후에"
일각 "우원식과 공감대 이뤘다가
강성지지층 의식해 선회" 분석도
국힘 "대통령제 고치지 말자는 말"
비명계 "수습 핑계로 개헌 방관"

유력 대선 주자인 이 대표가 ‘조기 대선·국민투표 동시 실시’에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정치권에서 분출되고 있는 권력구조 개편은 일단 대선 이후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대선·국민투표 동시 실시에 찬성 입장을 낸 국민의힘은 “새 정부에서 대통령제를 고치자는 건 고치지 말자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李 “지금은 내란 종식”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당장은 민주주의 파괴를 막는 것이 훨씬 더 긴급하고 중요하다”고 했다. 우 의장이 “기한 내에 합의할 수 있는 만큼 논의를 진행하되, 가장 어려운 권력구조 개편은 이번 기회에 꼭 해야 한다”며 조기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 실시를 제안한 지 하루 만이다. 이 대표는 우 의장의 제안을 반긴 국민의힘을 향해 “개헌으로 적당히 넘어가려는 생각을 하지 말라”고 했다.이 대표가 우 의장의 권력구조 개편 ‘원 포인트’ 개헌 제안을 거부한 건 우선 현실 가능성 때문이다. 조기 대선과 국민투표가 동시에 이뤄지려면 최소 38일의 시간이 필요하다. 헌법 등에 따르면 국회가 발의한 개헌안은 20일 이상 공고해야 하고, 국회 의결 후 국민투표를 하려면 또다시 최소 18일을 공고해야 해서다. 역산하면 4월 넷째주에는 여야가 합의한 개헌안이 나와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이 대표가 현실적인 판단을 한 것”이라고 했다.
무엇보다 2014년 헌법불합치 판정을 받은 국민투표법 재외국민 투표권 조항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 현행 국민투표법으로는 재외국민 중 국내에 주민등록 신고가 돼 있지 않으면 투표를 할 수 없다. 이 대표는 “국민투표법이 신속하게 합의돼 개정되고, 시행된다면 물리적으로 개헌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 대표는 국민투표법을 개정하더라도 권력구조 개편 국민투표가 아닌,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과 계엄 선포 요건 강화에 대해서만 국민투표에 부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국힘·비명 “李, 개헌 방관”
이 대표가 권력구조 개편 원 포인트 개헌에 선을 긋자 우 의장은 “개헌은 정당 간 합의하는 만큼 하면 된다”며 한발 물러섰다. 당초 제왕적 대통령 권한 분산을 위한 권력구조 개편 개헌을 우선순위로 내세웠지만, 이 대표가 주장한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계엄 선포 요건 강화라도 추진하자는 것이다. 국회 관계자는 “권력구조 개편이 핵심이긴 하지만, 다른 헌법 조항이라도 고칠 수 있다면 그거라도 일단 해보자는 게 우 의장 생각”이라고 했다.다만 우 의장이 개헌 제안을 내놓기 전 이 대표와 소통하며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이 대표가 강성 지지층을 의식해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우 의장과 이 대표 간에 개헌 관련 컨센서스가 있었던 것은 맞다”며 “일종의 구두 협의가 있었지만 이 대표가 주말 새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는 쪽으로 입장을 다시 세웠다”고 했다.
국민의힘과 비명(비이재명)계는 반발했다. 비명계 주자인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SNS에 “내란 수습을 핑계로 개헌을 방관하는 태도는 안일하다”고 했고,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내란 종식과 개헌 추진은 대치되는 이슈가 아니다”며 “개헌은 완전한 내란 종식으로 가는 근본적인 길”이라는 입장을 냈다.
한재영/최형창/정상원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